초고령사회생존법 culturehunter 2017. 6. 26. 23:56
노후대비하면 일부 장난끼 넘치는 친구들은 “그거 얼마면 돼?”하고 물어보곤 한다. 자본주의 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겐 모든 것을 돈으로 환산하고, 모든 것에 가격을 붙여보는 버릇이 생겼나 보다. 많은 이들이 ‘노후대비=목돈준비’이라는 공식으로 노후 문제를 보고 있다. 물론 모든 이들도 돈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통장에 꼬박꼬박 들어오는 월급이나 고정적인 수입이 없는 노후 삶에 돈이야말로 정말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본 요소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렇다. 노후준비에서 노후자금 마련과 연금화 될 수 있는 자원의 확보는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그렇게 중요한 노후자금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만일 지금 노후자금을 마련하기 어렵다면 이 두 가지만이라도 꼭 챙겨보자. 그러면 노후자금으로..
건강최우선주의 culturehunter 2017. 6. 5. 07:00
우리 몸을 치료하는 데 항생제의 도움이 필요할 때가 많다. 그러나 항생제의 치료는 득보다 실이 높은 치료법이다. 항생제는 우리 몸의 좋은 유익균과 제거해야 하는 세균에 대한 구분을 하지 못한다. 또한 세균만 대상으로 하고 바이러스에는 속수무책이다. 또한 세균들은 항생제 내성이 강해 항생제를 쓰면 쓸수록 더 강력한 세균이 등장하게 된다. 이미 항생제 남용으로 수퍼 박테리아가 출현했다. 정말 꼭 필요한 경우 쓸 수 있는 마지막 카드를 상실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잇몸질환을 일으키는 세균은 인체의 세균 중에서도 독성과 저항성이 높은 종류에 해당한다. 그리고 구강 질환은 잘 낫지 않고 오랜 기간 치료를 받아야 한다. 만일 항생제를 사용하게 되면 항생제 사용량을 계속 증가시켜야 하며 강력한 항생제 복용은 구강 치료..
건강최우선주의 culturehunter 2017. 5. 28. 23:54
얼마전 일본 월간 잡지 프레지던트지에서는 일본 55세~74세에 해당하는 은퇴자 1000명을 대상으로 “인생에서 가장 후회스러운 것”에 대해 건강, 돈, 일과 생활, 인간관계 이렇게 다섯 부문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다. 우리나라보다 20년 정도 앞서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일본 시니어들의 응답이기 때문에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었는데 건강 면에서 1위는 단연 “평소에 치아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라는 대답이 주를 이루었다고 한다. 우리는 흔히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버티지’라고 말하며 치아의 소중함을 망각하고 술병을 이빨로 따기도 하고, 철못을 씹어먹는 차력 시범을 보이는 사람들도 있지만, 온전한 치아는 장수의 필수요소로서 전통사회의 서민들이 원하던 오복(五福)에서도 가장 첫 손가락에 꼽히는 중요한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