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최우선주의/건강식사법 culturehunter 2020. 4. 14. 19:30
우유는 건강에 좋은 완전식품일까? 아니면 건강에 해로운 위험식품일까? 얼마전까지만 해도 우유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일종의 신성모독과 같은 일로 여겨졌다. 그만큼 우유는 우리 식생활에 중요한 음식이었다. 아기 때부터 모유 대신 먹었던 분유와 이유식, 장이 좋아지라고 먹었던 요구르트, 빵에 끼워 먹던 쫀득쫀득한 치즈와 옥수수튀김에 바른 고소한 버터는 별미 중의 별미였다. 열대야로 잠못 이루던 날 밤에 간식으로 먹었던 바닐라 아이스크림과 무럭무럭 키가 크라고 유치원과 학교 점심 배식 시간에 따라 나오던 180ml 짜리 소용량팩 우유는, 군대에서도 일과시간 후 훈련으로 지친 군장병들의 마음을 위로해 주던 간식이었다. 군대에서 부족한 칼슘을 보충하라고 나라에서 선사하신 일종의 건강식품이었다. 이런 우유가 ..
건강최우선주의/건강식사법 culturehunter 2020. 4. 11. 19:03
사람들은 원래 고기를 먹도록 설계되었을까? 아니면 채식을 하도록 만들어졌을까? 이런 질문을 하면 어떤 분은 이렇게 반응한다. “인간은 잡식성 동물이 아닌가요? 고기든 야채든 아무거나 잘 먹으면 좋은 것 아닐까요? 고기든 야채든 나무 열매든 국수든 모든 요리를 마음껏 맛볼 수 있다면 인간에게 축복이 아니겠어요?” 이분의 말씀은 정말 일리가 있는 말이다. 인간이 아무거나 다 먹을 수 있는 잡식성 동물이라는 사실은 생존과 행복에 유리한 조건을 선사한다. 잡식을 하면 우선 생존에 도움이 된다. 자연 생태계를 보면 어느날 갑자기 지구상에서 멸종되어 버린 많은 동물들을 볼 수 있는데 그 이유가 자신이 주로 먹던 먹이가 사라졌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와 달리 인간은 이것저것 다양한 것들을 먹을 수 있었기에 먹을 ..
건강최우선주의/건강식사법 culturehunter 2020. 3. 22. 07:00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식품하면 김치, 불고기를 떠올린다. 하지만 음식문화를 연구하는 문화인류학자들은 정작 한국의 식문화를 대표하는 음식은 따로 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은 무엇일까? 재래 콩을 발효시켜 만든 구수한 된장국이나 얼큰한 청국장일까? 아니면 한국적 삭힘의 미학이 탄생시킨 홍어회일까? 아니면 현대 한국의 배달문화가 탄생시킨 치맥(치킨과 맥주)일까? 예상 외로 답은 우리 가까이 있다. 학자들은 한국인의 보편적 정서를 담은 국가대표 음식은 바로 비빔밥이라고 말한다. 비빔밥? 뭔가 좀 더 심오한 한국적인 것을 원한 사람들에게는 웬지 답이 너무 싱겁다고 할 수 있겠지만 비빔밥은 정말 한국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음식이다. 밥과 반찬에 양념을 뒤섞어 먹는 비빔밥과 같은 종류의 음식..
건강최우선주의/건강식사법 culturehunter 2020. 3. 20. 14:14
오늘도 자고나면 수많은 별이 뜨고 지는 연예계에서 체중에 따라 변화된 인기역전을 실감하고 있는 연예인을 말해보자면 이하늬, 권미진, 이승윤, 조진웅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체중을 줄이는 방법에 있어 남녀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 같다. 살을 빼기 위해 권투를 배우고 밤마다 운동장 30바퀴를 돌았다는 영화배우 조진웅이나, 8년 동안 ‘나는 자연인이다’를 찍으며 깊은 산에서 자라는 몸에 좋다는 것은 다 시식하며 대학 전통무예 동아리 출신 개그맨답게 이종격투기와 오늘도 근력운동에 땀을 쏟는 헬스보이 이승윤처럼 남자 연예인들은 운동을 통해 살을 빼는 반면, 여성들은 운동 외에도 특유의 다이어트 비법을 갖고 있는 듯하다. 일명 크렌즈주스 비법. 날씬한 체형을 유지할 땐 미스코리아 출신의 8등신 몸매의 관록을 ..
건강최우선주의/건강식사법 culturehunter 2020. 3. 14. 21:54
건강의 첫 출발점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당신은 무엇이라 답할 것인가? 사람마다 여러 가지 대답이 나올 수 있으나 건강한 식사법이 바탕이 되지 않는다면 그 모든 노력은 모래 위에 지은 성과 같을 것이다. 사람들은 식사법하면, 육식이냐 채식이냐 그 음식이 맛이 있느냐 없느냐 하고 결국 ‘무엇을 먹을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같은 음식이라도 언제, 어떻게, 무엇과 함께, 어떤 순서로 먹느냐에 따라 음식은 약이 되기도 하고 독이 되기도 한다. 즉 음식에 있어서 ‘어떻게 먹을까’가 ‘무엇을 먹을까’만큼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최근 시중에는 각종 요리법과 함께 다양한 식사법이 범람하고 있다. 최근 유행하는 간헐적 단식과 저탄수화물 고지방 식사법, 전통적인 저지방 고탄수화물 식사법, 생식..
건강최우선주의/무병장수 culturehunter 2019. 2. 10. 20:00
세계 장수촌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오키나와의 위기’라는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오키나와 현은 한때 일본은 물론 전 세계의 대표적인 장수촌으로 일컬어지던 곳이었다. 1973년부터 2004년까지 장장 32년 동안 일본에서 가장 수명이 긴 지역이었고, 1995년에는 ‘세계장수지역선언’을 발표한 바도 있다. 오키나와 섬 북쪽에 위치한 오기미 마을의 경우에는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세계 최고의 장수촌’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동양의 하와이로 불리는 오키나와에는 예로부터 이런 속담도 전해진다. “80살은 어린아이이며, 90살에 저승사자가 데리러오면 100살까지 기다리라고 돌려보내라” 한편 세계 장수지역을 탐사 연구해온 댄 뷰트너 박사는 일본의 오키나와를 그리스 아카리아섬과 코스타리카 니코야반도, 이..